색으로 나누는 쿠폰? 李 “비상식적”
색으로 나누는 쿠폰? 李 “비상식적”

💥 “당신의 소비는 어떤 색입니까?”

만약 당신이 식당에 갔는데, ‘파란 쿠폰’이라서 이 메뉴는 주문할 수 없다고 한다면? 혹은 다른 사람은 ‘빨간 쿠폰’이라 더 많은 혜택을 받는다면?

실제로 한 지방자치단체에서 ‘소비 쿠폰’을 색깔별로 나눠 지급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리고 그 정책은, 하루아침에 전국적인 논란이 되었습니다.

1. ‘색깔 쿠폰’이 뭐길래? 정책 개요와 배경

익산시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시민들에게 소비 장려용 쿠폰을 지급하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지급 방식을 연령, 성별, 가족 유형 등에 따라 색으로 분류하면서 문제가 불거졌습니다.

예:

  • 20대~30대: 노란 쿠폰
  • 40대 이상 남성: 파란 쿠폰
  • 1인 여성 가구: 핑크 쿠폰

 

의도는 좋았지만, 색으로 사람을 규정한다는 점에서 ‘구시대적’이라는 비판이 거셌습니다.

2. 왜 논란이 됐나? 인권 감수성과 차별 논쟁

색 자체는 중립적이지만, ‘여성 = 핑크, 남성 = 블루’ 같은 고정관념이 정책에 반영된 순간, 그건 차별의 도구가 됩니다.

또한 특정 쿠폰은 일부 가맹점만 이용 가능하다는 제한이 있어, ‘소비 격차’라는 2차 문제도 발생했습니다.

여성단체, 인권단체는 “무감각한 행정”이라며 철회를 촉구했고, 익산시는 재검토 입장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여론은 이미 들끓고 있었고, 결국 대통령까지 이 논란에 입을 열었습니다.

3. 대통령까지 나섰다, 李의 강력 비판 이유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 “색깔로 사람을 구분하는 건 인권 감수성 부족의 전형” 이라며 정책을 정면 비판했습니다.

또한 > “낙인 대신 존중을 선택해야 한다” 며 정책 설계의 본질을 되돌아보게 했습니다.

이는 단순한 익산시의 문제가 아니라, 전국의 모든 행정과 정책 설계자들에게 보내는 경고이기도 했습니다.

결론: 정책은 ‘사람’을 향해야 합니다

색은 도구일 뿐입니다. 그러나 사람을 그 도구로 나누는 순간, 정책은 목적을 잃게 됩니다.

행정에는 감수성이 필요합니다. 효율보다 존중이 먼저입니다. 이번 논란이 그 사실을 우리 모두에게 다시 일깨워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