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시지원금vs 선택약정
공시지원금vs 선택약정

 

공시지원금 vs 선택약정, 뭐가 더 이득일까? 휴대폰 살 때 반드시 따져야 할 차이

휴대폰을 살 때 가장 많이 듣는 말, “공시지원금으로 구매하시겠어요, 아니면 선택약정으로 하시겠어요?”

하지만 대부분은 이 질문을 받고도 정확히 무슨 차이인지 모른 채 대리점 안내대로 계약을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공시지원금과 선택약정 할인의 구조와 차이를 실제 계산 예시, 상황별 추천까지 포함해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1. 공시지원금이란?

공시지원금은 통신사가 단말기 가격 일부를 즉시 할인해 주는 방식입니다.

  • 지급 시점: 휴대폰 구매 시, 즉시 단말가에서 차감
  • 지원 주체: 통신사 (SKT, KT, LG U+ 등)
  • 단점: 요금제와 기기 모델에 따라 고정됨 (변동 불가)
  • 주의: 중도 해지 시 ‘지원금의 100% 또는 일부’를 반환해야 함

예시: 단말가 1,000,000원 → 공시지원금 300,000원 → 실 구매가 700,000원

 

2. 선택약정 할인은?

선택약정은 단말기 할인 대신 요금제에서 25%를 할인받는 방식입니다.

  • 약정 기간: 12개월 또는 24개월 선택
  • 대상: 공시지원금을 받지 않은 사용자
  • 장점: 요금제 자유도↑, 할인 총액이 공시보다 높을 수 있음
  • 위약금: 중도 해지 시, 받은 할인에 따라 비례 부담

예시: 요금제 90,000원 → 25% 할인 = 67,500원 → 24개월 기준 총 할인액: 약 540,000원

 

3. 실제 계산 비교 예시

항목 공시지원금 선택약정 할인
단말기 출고가 1,000,000원
통신사 할인 300,000원(공시) 0원
요금제 90,000원 90,000원 → 67,500원
24개월 요금 총액 2,160,000원 1,620,000원
총 할인 효과 300,000원 540,000원
실질 비용 합계 1,000,000 – 300,000 + 2,160,000 = 2,860,000원 1,000,000 + 1,620,000 = 2,620,000원

결론: 월 요금이 높을수록, 선택약정이 더 유리해집니다.

 

4. 공시 vs 선택약정, 어떤 상황에 뭐가 유리할까?

공시지원금이 유리한 경우

  • 초기 단말기 구매 비용이 부담되는 경우
  • 요금제가 낮거나 중간 수준 (예: 4~6만 원대)
  • 단기 사용 예정 (6개월~1년 이하)

선택약정이 유리한 경우

  • 고가 요금제를 1~2년 이상 쓸 계획일 때
  • 단말기 자급제 구매자 또는 중고폰 사용자
  • 통신비 절감이 중요한 장기 이용자

 

5. 헷갈리지 말고 이렇게 기억하세요

  • 공시지원금: 단말기 싸게, 요금은 그대로
  • 선택약정: 단말기는 제값, 요금은 싸게

 

👉 핵심은 “내가 월 얼마짜리 요금제를 얼마나 오랫동안 쓸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 결론: 계산 없이 계약하지 마세요!

공시와 선택약정은 각각의 장단점이 명확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월 요금이 8만 원 이상 + 24개월 유지가 예정돼 있다면 선택약정이 총 할인금액이 크고 유리합니다.

하지만 초기 비용을 줄이거나 단기 이용자라면 공시지원금이 더 나을 수도 있죠.

👉 폰 바꾸기 전에, 계산기 두드려보는 습관 하나면 1년에 수십만 원 절약할 수 있습니다!